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바/Spring2

DTO와 Entity 오늘은 Spring MVC에서 사용되는 Entity와 DTO에 대해서 말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Entity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음은 DTO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그리고 Entity와 DTO를 어떤 식으로 변환하는지도 코드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ntity Entity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매핑되는 객체입니다. 보통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엔티티는 특정 도메인 또는 개념을 나타내는 클래스입니다.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매핑되기 때문에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와 일치하는 필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Entity는 데이터베이스와 직접 맞닿아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렇기 때문에 컨트롤러나 VIew에 직접 전달하여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컨트롤러나 View.. 2023. 5. 16.
서블릿(Servlet) 컨테이너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웹 서버는 정적인 페이지만 제공합니다. 그렇기에 동적인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웹 서버는 다른 곳에 요청하여 동적인 페이지를 작성해야 합니다. 여기서 웹 서버가 동적인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애플리케이션이 서블릿(Servlet)입니다. 즉, 서블릿은 클라이언트가 어떤 요청을 하면 그에 대한 결과를 다시 전송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서블릿 특징 서블릿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동적으로 작동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이며, HTML을 사용하여 요청에 응답합니다. 이 때 자바의 스레드를 이용하여 동작하고, MVC 패턴에서 컨트롤러로 이용됩니다. 그리고 HTTP 프로토콜 서비스를 지원하는 javax.servlet.http.HttpServlet을 상속 받습니다. UDP보다 처리 속도가.. 2022. 10. 30.
반응형